본문 바로가기

jira, confluence, 도커[패캠챌린지]22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09일차: Jira CustomField 설정하기 예시로 나온 필드는 문제 발생 일시, 작업자 직군, 문제내용, 작업필요 내역, 비고, 참고URL, 요청 완료 일시였다. 한국어 Jira에서는 관리-사용자정의 필드를 누르면 나오는데, 일단 필드를 추가한 다음에도 관리자 탭에서 화면 구성을 사용하여 화면 계획을 설정하고, 이슈유형 화면계획 구성까지 세세하게 지정할 수 있는것이 인상적이었다. 그 다음으로 유용해보이는 기능은 사용자정의 필드였다. 이것은 좀 내용이 긴 편이니 사진 위주로 가자. Custom field 추가 Issues → Custom Fields → "Add custom field" 클릭 필드 타입을 선택 제목과 설명을 기술하고 생성 필드 설정 필수 여부, 사용할 스크린, 사용할 Rendere 설정등 Issues → Fields → Field .. 2021. 9. 14.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08일차: Jira workflow 설정하기(실습)[수정] Jira에서 바로 미해결 이슈를 만들어서 사용하는 타입으로 실습을 진행하였다. 나머지는 다 비슷하고 워크플로우 뜨는것도 동일한데, 우리팀의 상황에서 고려할 점은 '포인트'였다. 데브옵스 파트를 총괄하시는 분께서 일주일에 35포인트(시간) 정도 나누어 주시고, 우리에게 적절하게 배분하여 스프린트 시작 전에 이슈 유형 설정부터 계획까지 하는 방식이었는디... 솔직히 신입개발자(코더더) 수준에서 업무파악도 덜된 상태로 다하는건 무리수였다.(그냥 일괄 '작업' 이슈유형 설정) 게다가 Jira의 특징인지, '이야기'로 이슈유형을 설정하면 포인트 배분 기능이 막힌다;; (이게 핵심) 이렇게 open, todo부터 in progress, Done을 때려서 완료할 수 있게 전체적인 Workflow를 설정하면 되는데 J.. 2021. 9.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