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시로 나온 필드는 문제 발생 일시, 작업자 직군, 문제내용, 작업필요 내역, 비고, 참고URL, 요청 완료 일시였다.
한국어 Jira에서는 관리-사용자정의 필드를 누르면 나오는데, 일단 필드를 추가한 다음에도 관리자 탭에서 화면 구성을
사용하여 화면 계획을 설정하고, 이슈유형 화면계획 구성까지 세세하게 지정할 수 있는것이 인상적이었다.
그 다음으로 유용해보이는 기능은 사용자정의 필드였다.
이것은 좀 내용이 긴 편이니 사진 위주로 가자.
Custom field 추가
- Issues → Custom Fields → "Add custom field" 클릭
- 필드 타입을 선택
- 제목과 설명을 기술하고 생성
필드 설정
필수 여부, 사용할 스크린, 사용할 Rendere 설정등
- Issues → Fields → Field configurations 선택
- 변경할 필드 옆의 설정을 클릭하여 수정
DB 에서 전체 Custom file 및 ID 조회
select id, cfname, DESCRIPTION from customfield;
| 10501 | Flagged | Allows to flag issues with impediments. |
| 10502 | Epic/Theme | Field that will help you regroup issues under an Epic or under a theme. |
| 10503 | Story Points | Measurement of complexity and/or size of a requirement. |
| 10504 | Business Value | Measurement of business value of a requirement. |
| 10505 | Global Rank | Rank field for GreenHopper use only. Please refrain from adding additional fields, doing so would not result in anything useful. |
| 10600 | Planned Start | Planned start date for issue's activity. |
| 10601 | Planned End | Planned end date for issue's activity. |
| 10602 | Gantt Options | Specify: is the issue a milestone or do you want to schedule it manually?
이렇게 보니 이전의 글만 가득보다는 가독성이 쬐끔... 좋아졌으려나?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jira, confluence, 도커[패캠챌린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13일차: 스프링 프로젝트 세팅 1[수정] (0) | 2021.09.18 |
---|---|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12일차: Confluence 협업툴 사용방법[수정] (0) | 2021.09.18 |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11일차: Confluence 협업툴 설명[수정] (0) | 2021.09.16 |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10일차: Jira DB 구조 설명[수정] (0) | 2021.09.15 |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08일차: Jira workflow 설정하기(실습)[수정] (0) | 2021.09.13 |